생애

    20세기 유명한 종교 철학자이자 신학자인 존 힉은 1922년 영국에서 태어났다. 영국 스카버러의 중산층 가정에서 자란 그는 10대에 철학과 종교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힉은 처음에 퀘이커인들이 설립한 요크에 있는 Bootham School에 다녔고, 이후 Hull 대학에서 법학 학위를 취득하려고 계획했으나, 복음주의 그리스도교로 개종 한 후 자신의 진로를 바꾸기로 결정하고 1941년 Edinburgh 대학에 등록했다. 대학생 시절 제2차 대전에서 병역의 의무가 있었지만, 도덕적 이유에서 양심적 병역거부자로서 'Friend's Ambulance Unit'에서 복무하였다.

    전쟁 후 힉은 에딘버러로 돌아와 칸트의 철학에 매료되어 자신의 근본주의 사상에 의문을 품기 시작했다. 1948년에 그는 자신의 주저인 󰡔믿음과 지식󰡕의 기초를 형성하는 석사 논문을 완성한다. 1950년에 힉은 Oxford 대학의 Oriel College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1977년에는 스웨덴 Uppsala 대학교 신학부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연합 개혁 교회의 회원으로 수년을 보낸 후, 2009년에 힉은 영국의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Quakers)의 회원이 되었으며, 2012년 세상을 떠났다.

주요 업적과 사상

    Keith Ward는 존 힉을 "세계 종교의 살아있는 가장 위대한 철학자"라고 평가했다. 기독교 신자임에도 불구하고 힉은 종교 다원주의를 옹호한 철학자로 잘 알려져 있다. 힉은 비-그리스도교적 신앙을 가진 사람들과 교류하면서 점차 다원주의적 관점을 지니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그들 역시 그리스도교인들이 인정하는 동일한 가치와 도덕적 행동을 지향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에 기초하여 힉은 유신론적 종교에 헌신하는 모든 사람들이 구원을 얻을 수 있는 수단을 열어 밝히려는 시도를 하였다. 그런데 나중에 교황이 된 추기경 Joseph Ratzinger는 그 당시 상대주의를 옹호한다고 비판을 받는 몇몇 신학자들이 힉의 영향을 받았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힉의 사상을 비판했다.

    비록 복음주의에서 출발했지만, 힉은 이후에 하나님의 사랑과 문화적·종교적 다양성의 사실들을 조화시키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해 다원주의로 나아가게 되었다. 또한 힉은 칸트의 영향을 받았는데, Richard Peters에 따르면, 힉이 자신의 종교철학에서 말하는 인간 정신과 신의 관계의 구조는 칸트에서 인간 정신과 세계 사이의 관계 구조와 유사하다. 힉은 칸트의 영향 하에서 실재에 대한 지식은 이 실재가 지각되는 대로만 인식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은 연유로 신에 대한 절대적 진리주장은 사실상 신의 지각에 대한 진리주장이며, 신에 대한 지식과 종교적 진리주장 역시 문화적·역사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므로 절대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고 힉은 설명한다. 더 나아가 종교의 다원성을 옹호하는 그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만 구원에 도달할 수 있고 신의 완전한 진리가 그리스도교에만 있다는 그리스도교 배타주의를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철학적 신학 내에서 그는 신학, 종말론 및 그리스도론 분야에 기여했으며, 종교 철학에서는 종교 인식론 및 종교 다원주의 분야에 특히 많은 기여를 했다.

주요 저작

Hick DB

총 게시물수: 458

페이지:1/23

번호

JH01600458

JH01600457

JH01600456

JH01600455

JH01600454

JH01600453

JH01600452

JH01600451

JH01600450

JH01600449

JH01600448

JH01600447

JH01600446

JH01600445

JH01600444

JH01600443

JH01600442

JH01600441

JH01600440

JH01600439

제목

종교철학

종교철학

종교철학

종교철학

종교철학

종교철학

종교철학

종교철학

종교철학

종교철학

종교철학

종교철학

종교철학

종교철학

종교철학

종교철학

종교철학

종교철학

종교철학

종교철학

주제

업보는 보편적인 인간의 책임에 대한 가르침이다.

업보는 보편적인 인간의 책임에 대한 가르침이다.

윤회는 검증도 반증도 할 수 없다.

윤회는 검증도 반증도 할 수 없다.

윤회 또는 환생이 정확하게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윤회 또는 환생이 정확하게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윤회 또는 환생이 정확하게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베단타 철학이 가르치는 업(카르마)과 재생의 개념은 가장 중심적인 것이다.

베단타 철학이 가르치는 업(카르마)과 재생의 개념은 가장 중심적인 것이다.

베단타 철학이 가르치는 업(카르마)과 재생의 개념은 가장 중심적인 것이다.

베단타 철학이 가르치는 업(카르마)과 재생의 개념은 가장 중심적인 것이다.

베단타 철학이 가르치는 업(카르마)과 재생의 개념은 가장 중심적인 것이다.

베단타 철학이 가르치는 업(카르마)과 재생의 개념은 가장 중심적인 것이다.

베단타 철학이 가르치는 업(카르마)과 재생의 개념은 가장 중심적인 것이다.

베단타 철학이 가르치는 업(카르마)과 재생의 개념은 가장 중심적인 것이다.

베단타 철학이 가르치는 업(카르마)과 재생의 개념은 가장 중심적인 것이다.

베단타 철학이 가르치는 업(카르마)과 재생의 개념은 가장 중심적인 것이다.

윤회는 있는가?

윤회는 있는가?

윤회는 있는가?

저자

존 H. 힉

존 H. 힉

존 H. 힉

존 H. 힉

존 H. 힉

존 H. 힉

존 H. 힉

존 H. 힉

존 H. 힉

존 H. 힉

존 H. 힉

존 H. 힉

존 H. 힉

존 H. 힉

존 H. 힉

존 H. 힉

존 H. 힉

존 H. 힉

존 H. 힉

존 H. 힉